문제풀이/백준oj
[백준OJ] 1761번 정점들의 거리
Hyeon-Uk
2021. 4. 30. 14:49
반응형
1761번: 정점들의 거리
첫째 줄에 노드의 개수 N이 입력되고 다음 N-1개의 줄에 트리 상에 연결된 두 점과 거리를 입력받는다. 그 다음 줄에 M이 주어지고, 다음 M개의 줄에 거리를 알고 싶은 노드 쌍이 한 줄에 한 쌍씩
www.acmicpc.net
-풀이-
1. 입력받은 숫자와 거리로 graph를 만든다.
2. DFS를 이용하여 루트가 1인 트리의 깊이와 부모를 설정해준다.
3. LC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, 최소 공통조상까지 올라가며, 부모로 올라갈때 거리를 전부 더해준다.
-시간복잡도-
LCA알고리즘을 총 O(N)의 시간이 걸리게 구현하였다. O(logN)으로 구현하면 더 빠를것이다.
-코드-
#include<iostream>
#include<vector>
#include<algorithm>
#define MAX 40001
using namespace std;
int n, m;
vector<pair<int,int>> maze[40001];
vector<pair<int, int>> op;
int depth[MAX];
int parent[MAX];
int get_value(int a, int p) {
for (int i = 0; i < maze[a].size(); i++) {
if (maze[a][i].first == p) {
return maze[a][i].second;
}
}
}
int get_lca(int a, int b) {
int result = 0;
if (depth[a] > depth[b]) {
while (depth[a] > depth[b]) {
result += get_value(a, parent[a]);
a = parent[a];
}
}
else {
while (depth[a] < depth[b]) {
result += get_value(b, parent[b]);
b = parent[b];
}
}
while (a != b) {
result += get_value(a, parent[a]);
a = parent[a];
result += get_value(b, parent[b]);
b = parent[b];
}
return result;
}
void make_depth(int now, int p) {
depth[now] = depth[p] + 1;
parent[now] = p;
int len = maze[now].size();
for (int i = 0; i < len; i++) {
int next = maze[now][i].first;
if (next != p) {
make_depth(next, now);
}
}
}
void input() {
cin >> n;
for (int i = 0; i < n - 1; i++) {
int a, b, dist;
cin >> a >> b >> dist;
maze[a].push_back({ b,dist });
maze[b].push_back({ a,dist });
}
cin >> m;
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int a, b;
cin >> a >> b;
op.push_back({ a,b });
}
}
void solve() {
depth[0] = -1;
make_depth(1,0);
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int a = op[i].first;
int b = op[i].second;
cout << get_lca(a, b) << "\n";
}
}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);
input();
solve();
}
반응형